[열린 광장] 개 사랑
요즘 개를 자식처럼 키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. 우리 딸도 개를 몹시 사랑하는 것 같다. 개입에서 냄새가 난다고 스케일링을 하러 동물병원에 가니 말이다. 옛날에는 생각지도 않던 일이다. 얼마 전 동네 주변을 거닐다 유모차를 끌고 지나는 선배 부부를 만났다. 손주를 태우고 산책을 나온 것 같아 다가가 인사말을 했다. “선배님 손줍니까?”, “손주가 아니라 자식일세!”, “자식이라니요?” 팔순이 지났는데 웬 자식일까! 농담이겠지 하고 호기심에 유모차 안을 들여다보고 깜짝 놀랐다. 유모차 안에는 아기가 아니라 ‘몰티즈’ 강아지가 잠을 자고 있었다. “개자식이군요.” 나는 고소를 금치 못하며 나도 모르게 ‘개자식’이라는 말이 나왔다. ‘개자식’은 보통 욕설로 더 자주 사용된다. 무례하거나 사람답게 처신하지 않을 때 이런 말을 쓴다. 방랑시인 김 삿갓이 팔도를 유람하며 쓴 시에서도 비위에 맞지 않는 인물은 견자(犬子)로 표현하지 않았던가. 그런데 개가 정말로 못된 동물일까?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. 개들은 인간이 사랑하는 만큼 충성을 다 하는 동물이다. 충성이 아니라 목숨을 바쳐서라도 주인을 섬긴다. TV 동물 프로그램에서 자신을 사랑하던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먹지도 않고 할머니 곁을 떠나지 않는 개가 소개된 적이 있다. 사람들이 할머니의 영정을 개 앞에 놓고 달래 보았으나 개는 자기를 사랑해준 할머니만을 기다렸다. 그러다 개도 죽었다. 그 애틋한 ‘개자식’의 마음을 누가 알아줄까. 우리들의 마음을 서글프게 하는 개 이야기다. 개는 영리한 동물이다.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이다. 개는 개과에 속하는 포유동물로 야생동물 가운데서 가장 먼저 가축화되어 인간과 인연을 맺었다. 개들도 인간에 의해 많은 변화가 이뤄졌다. 오랜 기간 세계 각 지역에서의 선택 교배에 의해 현재 약 200여종의 크고 작은 개들이 있다. 사람의 경우 2만의 진동을 들을 수 있는 데 반해 개는 10만에서 70만의 진동을 들을 수 있다고 한다. 소리의 가락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어 훈련이 가능한 것이다. 요즘 자식들이 부모를 홀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개는 그렇지 않다. 개는 사람에게 충성하고 의리가 있는 동물로 우리나라에도 충견 설화가 많다. 그래서인지 개를 자식처럼 키우는 노인들이 많아졌다. 믿을 수 없는 사람, 배신하는 사람으로부터 상처받고 괴로워하느니 의리 있고 충성을 다하는 ‘개자식’이 더 편하고 정이 가는 것이리라. 김일홍 / 소설가열린 광장 사랑 야생동물 가운데 요즘 자식들 tv 동물